onnnzeoz
article thumbnail

2/3
CSS
cascading style sheets

css 적용 방법
1. 해당 태그에 직접 설정(요즘 잘 안씀)
2. html문서 내에 따로 설정 (주된방법)
3. CSS 파일 외부에서 불러옴

-favicon : 각 사이트를 대표하는 이미지, 즐찾시 아이콘으로 사용
넣으려면 <head>에서 <link rel="icon" href="이미지이름.png">

ico와 png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

-css를 쓰며 자주 활용되는 html태그들
  <div> 특정 영역 지정해서 스타일 줄 때
  <span> 특정 문자열 지정해서 스타일 줄 때
  <details> & <summary> 🔽 이거 이용해서 요약정리하고 싶을 때

  예를 들면

더보기

    <details>

    <summary> abc
    <p>def</p>


    이렇게!🔽abc 이 화살표 누르면 def이 나오는거임


<dialog open> 알림팝업 : 뒤에 open을 넣어야 화면에 나타남

-emoji
이미지를 많이 넣으면 용량도 커지고 로딩하는데 오래 걸리니까
사용하는게 emoji, 문자(코드)로써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
사용법은 10진수코드 / 16진수 코드

이게 가능한 이유? emoji의 고유한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가지고 있어서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필요없이 보여줄 수 있는거임

-syntax

Selector는 css를 적용하기 위한 특정 태그(요소)를 가져오는걸 도와줌

selector{

declaration(property value)

}

가져올 요소가 id인 경우 #myid

가져올 요소가 class인 경우 .myClass

근데 div안에 있는 class라고 특정하고 싶다면 div.ex 라고 해줘야해

div .ex 이렇게 한 칸 띄워버리면 div의 자식요소 중에서 class가 ex인거임

가져올 요소가 p인 경우 p

 

- border: 컨텐츠를 감싸는 라인

border: 1px solid black;

border를 했는데 두 줄로 나올 수 있음(각각의 요소를 한 번씩 감싸니까 여러 번 감싸질 수 있음)

이럴 땐 collapse를 써서 통합시켜

 

-padding & margin

-background

background-color : 이 색으로 배경 다 채움

background-image : url('../img/img02.jpg');

url() 괄호 안에 이미지 어딨는지 주소 넣어주고

만약 요소(배경)보다 이미지가 작다면 x/y축으로 반복해줌

만약 이미지보다 요소(배경)가 더 크다면 cover로 지정하면 잘려서 나옴

contain으로 지정하면 사진이 더 보이더라도 비율에 맞춰서 보여줌

 

- background-repeat

background-repeat : no-repeat; 반복이 없음 그냥 한 개만 덩그러니 놓여져 있음

background-repeat : x-repeat ;//x축을 향해서만 반복함

background-repeat : y-repeat; //y축을 향해서만 반복함

background-position: center;

background-size

 

-float : 기존 흐름에서 벗어나 복잡한 레이아웃을 설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속성

3가지 display 속성

1. inline (input, span, b 등)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렬

2. block (div, p, li 등) 위에서 아래로 정렬되는것

3. none 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

만약 float속성 중에서 적용하고싶지 않은 것이 있다면 clear

ex) 맨 위에서 div 설정해놨는데 div.first에서는 그걸 clear하는 모습

div{ width:50px; height: 25px; border: 3px solid plum; margin: 5px; /*out area of border*/ float:left; } input[type='text']{ display: none; /*display 종류: inline|block|none*/ } /*div태그 중에서 class가 first인 요소*/ div.first{ border-color: darksalmon; clear: left;

 

 

-hover

hand over 마우스가 요소 위로 올라갔을 때 스타일

<style>

a:link //기본 상태

a:active//링크 클릭했을 때

a:visited//방문한 곳

a:hover//마우스 올려놨을 때

 

DAUM NAVER GOOGLE

-

min-width

max-width

 

-position 속성으로 div를 배치할 수 있음

static : relative의 기준이 되는 속성, 잘 사용x

relative: 다른 요소와 연관되어 움직임, static이 없으면 가장 가까움 relative를 기준삼

absolute: 다른 요소에 방해받지 않고 움직임

fixed: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음

 

-z-index 

z는 3차원적인 두께를 의미

1~10까지 있고 10으로 갈 수록 위에 있다는 뜻

z-index 쓰려면 모든 요소의 position이 absolute여야함

->왜냐! ab쟤는 다 무시하고 공중에 떠있는 애거든

공중에 떠있어야 순서를 조정하든 할거니까 무조건 ab으로 설정해줘야함

 

-opacity 0부터 1까지 설정가능

1로 갈 수록 불투명상태

그 사이에서 0.1씩 움직임

 

-visibility hidden은 안채워져, 숨기고있는거

display none은 아예 없어지는거, 채워져

profile

onnnzeoz

@onnnzeoz

비전공자의 개발 공부 일지입니다 💦 국비 풀스택 과정 수강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