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, PuTTY 초기설정 및 인스턴스, filezilla
Cloud 서비스 장점
서버를 늘렸다 줄였다 유동적으로 가능 (수강신청)
설치프로그램을 클릭몇번에 가능
손 쉽게 서버 구축
근데 이제 비싸니까
서비스가 커지면 IDC에 입주해서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직접 설치하고 장비를 증설함
IDC 종류 AWS, Google Cloud, Oracle Cloud
이미지 변경해서
centOS로 체크
둘중에 7버전 사용해주기
AMD=무료로 해줄게(다른 CPO?로 바꿀수있으나 다른건 유료일 수 있음)
SSH 키 추가
원격 터미널로 서버에 붙어야함, 이 과정에서 아이디랑 패스워드로만 가긴 빈약하기에 키라는 것도 이용해줘야함
자동으로 키 쌍 생성, 전용키 저장, 저장된 키 열기
대기중 : 우리 서버 이만큼 쓸래요~ 요청한 뒤에 만들어주는 과정
sudo yum update -y
means
sudo : super user
yum : 이거 해줘
update : update해줘
-y : y 옵션으
sudo yum install docker -y
ps(프로세서)중에서 도커라는 문자열이 있으면 그것만 grep해서 가져와
-> 가져오면 도커가 돌고있다는 의미
docker images
나 docker containers를 검색해서 잘 돌고있는지 확인
d:directory
r:read
w:write
권한
실행문 : ls -al var/lib | grep docker
var폴더 밑 lib 폴더에 있는 ls 중 docker라는 이름으로 grep해와
결과 : drwx--x---. 13 root root 167 May 22 03:37 docker
drwx--x--- mean 일반사용자는 실행시키는 것 외에는 못함 이거 소유자는 root
이거 하려면 sudo라는 놈을 계속 붙여줘야함 관리자권한으로 하기 위해
소유주나 소유그룹을 변경하기
이 권한 자체를 변경하기
(권한이 없으면 root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
filezilla 얘는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서버에 옮겨주기 위해 필요한거, 파일전송 프로토콜